통상적으로 세포는 접착단백질이라는 물질 덕분에 세포들이 붙어서 생겼습니다. 이러한 접착단백질은 상피 조직을 형성하는데 필수적인 암 억제 인자이라고 오랫동안 생각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Mayo Clinic 연구자는 기존 이론에 더하여 접착단백질이 암세포에도 존재하며 성장에 필요한 요소라는 이론을 주장하였습니다. 접착단백질에는 '암 억제 인자'와 '암세포 성장에 필수적 요소'라는 두 가지 상반된 측면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는 주장입니다.
암 세포를 원래 정상세포로 원복시키는 재프로그래밍
연구진의 실험에 의하면 암세포 내에 존재하는 접착단백질에 이상이 생겼을 때에 암세포가 엄청난 속도로 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연구진의 이론을 뒷받침하는 결과입니다.
다른 한가지 중요한 사실도 알게 되었습니다. 접착단백질과 microRNA 사이에는 분자 상호작용이 있다는 것입니다. 일반적 세포끼리 접촉하면 microRNA는 세포성장을 촉진하는 유전자 움직임을 정지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그런데 암세포의 접착단백질에 이상이 생기면 microRNA에도 이상이 나타납니다. microRNA을 파괴하면 세포 결합을 절단하는 PLEKHA7라는 단백질 생성이 막혀서 세포가 증식을 반복하면서 암세포로 바뀐다고 합니다.
그런데 정말로 중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러한 암성장 과정을 반대로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힌 것입니다. 즉 암세포 중의 microRNA를 통상적 수준까지 복원하면 암세포 성장이 멈추기는 것을 넘어서 성장이 퇴화되어 예전 세포로 원복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세포의 과도한 증식을 막는 기능(microRNA)을 복원하여 암세포 성장을 멈추게 하였고 더 나아가서 정상으로 되돌릴 수 있었습니다.
다만 여러 종류의 질환 중에서 정상으로 회복된 것은 급성 유방암, 폐암, 방광암 뿐이었습니다. 이번 연구에도 한계가 있는 것이죠. 하지만 몇개월 전의 백혈병 연구에 이어 또다른 놀라운 소식인 것은 사실입니다. 여러 종양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연구로 다 해결이 안되는 것이겠지만 점차 더 놀라운 연구가 진행되리라 기대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